우리 연구실의 주요 관심 대상은 빛과 금속 나노물질의 상호작용입니다. 금/은과 같은 귀금속 나노입자는 플라즈몬(plasmon)이라는 고유한 특성이 있습니다. 금/은 나노입자의 전도성(conduction) 전자들은 빛의 전자기장과 공명을 이루면 다함께 진동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를 일컬어 "플라즈몬" 또는 "플라즈몬 공명"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플라즈몬 때문에 금/은 나노입자는 아래와 같은 크게 4가지 특성을 지니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매우 광범위한 응용이 가능합니다.
(1) 밝은 색깔: 금나노입자 용액은 우리가 흔히 아는 황금색이 아닌 매우 밝은 빨간색을 띱니다. 은나노입자는 노르스름한 색깔을 띱니다. 색을 띠는 정도를 molar extinction coefficient로 환산하면 흡광도가 가장 큰 유기염료분자들보다 무려 10,000-1,000,000배 정도 더 빛을 잘 흡수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바이오이미징이나 임신진단키트, 코로나간이키트처럼 색깔을 이용한 센서에 응용합니다.
(2) 국부적인 전기장(local electric field) 발생: 나노입자 주변에 강한 전기장을 형성합니다. 즉 빛을 실질적으로 나노미터 스케일로 포커스 할 수 있는 것이죠.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나노입자 주변 분자의 라만산란(Raman scattering), 형광, 광화학반응성 등을 엄청 크게 만들 수 있습니다. 라만의 경우 나노입자가 없을 때보다 신호 크기를 10^12배까지 증폭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Hot carier 생성: 플라즈몬이 감쇠(decay)하면서 에너지가 높은 전자와 정공(hole)을 만듭니다. 이러한 전자와 정공을 hot carrier라고 부르는데요, 이들을 주변 분자에 전달하면 산화/환원 반응을 유도할 수 있고, 또 회로로 만들어 전지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플라즈몬을 이용한 촉매를 plasmonic photocatalysts라고 부르고 이들을 이용해 청정에너지원인 수소를 물분해를 통해 만들 수 있습니다.
(4) 열 발생: 플라즈몬의 에너지가 감쇠하면서 주변 매질에까지 전달이 되면 매우 높은 열이 발생합니다. 금나노입자의 경우 70-80도까지도 온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게 빛을 이용해 열을 발생시키는 걸 "광열효과(photothermal effect)"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금나노입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태워 죽이는 광열치료법, PCR의 thermocycle을 빠르게 하는 ultrafast PCR 등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더더욱 재미있는 건 이러한 금/은 나노입자의 특성이 금/은 나노입자가 조립체를 이루면 나노갭에서 더욱 증강된다는 것입니다. 예컨대 위 (2)번 전기장에 의한 라만증강 신호는 떨어져 있는 독립적인 금/은 나노입자 주변에서는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일어나지 않습니다만 나노갭을 이루기만 하면 매우 큰 신호로 증폭됩니다. Hot carrier 형성이나 열 발생도 나노갭에서 훨씬 잘 일어납니다.
그래서 우리 연구실에서는 크기와 모양, 재질이 다양한 금/은 나노입자를 만들고 이들을 building block으로 하여 나노입자 조립체를 만듭니다. 그리고 이러한 조립체를 이용하여 위에 제시한 금/은 나노입자의 증강된 특성을 연구하고 이러한 특성을 센서, 표면증강분광학, 촉매, 청정에너지원 생성, 이산화탄소 저감, 광열치료법 등에 응용합니다.
우리 연구실은 울퉁불퉁한 구형부터 완벽한 구형(perfect sphere), 큐브(nanocube), 막대(nanorod), 삼각형(triangular prism), 별모양(nanostar) 등 여러 가지 모양의 금/은 나노입자를 만듭니다. 또한 최근 개발한 plasma spot welding 방법으로 땅콩모양(nanopeanut), 산딸기모양(nanoraspberry) 등 특이한 모양을 만들기도 합니다.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원하는 조립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구성 나노입자 뿐 아니라 나노입자간 거리(나노갭 거리), 나노입자가 붙는 위치 등을 조절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순도 100%로 많은 양의 조립체를 만드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나노입자 조립체에서 나노갭 거리, 나노갭의 곡률, 나노입자의 상대적인 위치, 빛의 편광 등에 따라 플라즈몬 커플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합니다.
나노갭에서 전기장에 의해 증강되는 다양한 현상을 연구합니다. 특히 라만 증강, 형광 증강, 광화학반응성 증강을 관찰하고 나노갭의 구조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합니다. 라만증강(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을 이용한 검출, 진단 센서를 개발합니다.
플라즈몬에 의해 만들어지는 hot charge carrier를 이용해 나노갭에서 화학반응을 유도하고 그 메카니즘과 동역학을 규명합니다.
나노입자와 hot carrier 생성 효율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고효율 플라즈몬 광촉매를 개발합니다.
Hot carrier에 의한 화학반응을 물분해(water splitting)를 통한 수소발생, CO2 저감 등에 응용합니다.
나노입자 조립체를 이용해 광열효과를 유도하고 열을 이용한 다양한 분야에 응용합니다.